![](https://xn--10-455iz6wu2b5ul.com/wp-content/uploads/2025/02/wp-header-logo-1212-300x200.png)
한경만의 독자적인 프리미엄 콘텐츠입니다.
한국경제 회원이 되어 보세요
지금 바로 한국경제 회원으로 가입하시고, 독점 혜택을 누려보세요
이미 회원이시면 로그인을 클릭해 주세요
계정관리
My한경
한경 AI
한경 AI로 맞춤 뉴스와 빠른 검색을 경험하세요!
구독
유료 상품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톱10 중 6곳이 中 기업
전 세계 자동차 배터리 시장에서 중국 입지가 강화되고 있다.13일 중국 경제 매체 제일재경이 SNE리서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글로벌 배터리 판매사 상위 10곳 중 6곳이 중국 업체인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전력 판매는 전년 대비 27.2% 증가한 894.4기가와트시(GWh)였다. 전기차 판매가 증가한 영향이 컸다. 지난해 각국에 등록된 전기차는 약 1763만 대로 전년 대비 26.1% 늘었다.CATL이 전체 시장 점유율 37.9%로 8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비야디(BYD)로 시장 점유율 17.2%를 나타냈다. 이 밖에도 CALB, 궈쉬안하이테크, 이웨이리튬에너지, 신왕다가 각각 4위, 8위, 9위, 10위를 차지했다. 이 같은 6개 중국 배터리 업체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2023년 63.4%에서 지난해 67.1%로 높아졌다.베이징=김은정 특파원
30% 할인 효과…’설 특판 온누리’ 판매액 1조 넘어
설 연휴가 포함된 지난 한 달간 온누리상품권이 1조원 이상 팔린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앞으로 전통시장 외에도 온누리상품권을 쓸 수 있는 ‘골목형 상점가’를 늘리고 디지털 앱을 개편할 방침이다.중소벤처기업부는 13일 서울 중소기업중앙회 여의도회관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올해 설 명절 기간(1월 10일~2월 10일) 온누리상품권 판매액이 1조267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4473억원)에 비해 129.6% 증가한 수치다.중기부는 침체된 내수 경기를 진작하기 위해 올해 설 명절 기간 디지털상품권 할인율을 기존 10%에서 15%로 올리고, 디지털상품권 결제액의 15%를 환급해줬다. 이 기간 중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을 구매해 사용까지 했다면 최대 30%의 할인 혜택을 누린 셈이다.그 결과 디지털상품권 판매액은 올해 행사 기간에 8393억원을 기록했다. 작년 동기(1016억원) 대비 726.2% 늘어났다. 같은 기간 전체 판매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3%에서 82%로 높아졌다.설 명절 기간에 사용한 금액도 5286억원으로, 1년 전(3471억원) 대비 52.3% 증가했다. 판매량이 늘며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앱 이용자도 지난 10일 기준 463만 명으로 작년 말보다 80만 명 증가했다.올해 중기부는 온누리상품권 사용 편의성 강화와 활용처 확대에 주력할 계획이다. 중기부는 다음달 1일 기존에 카드형과 모바일로 나뉘어 있던 디지털상품권을 하나로 합친 통합 앱을 출시할 예정이다. 앱에는 가맹점 길찾기 기능과 큰 글씨 모드 등을 도입해 노년층의 편의성을 높인다. 다만 통합 앱 출시를 위해 오는 15일부터 28일까지 기존 앱 사용이 중단된다.전통시장이 아니더라도 거주지나 직장 주변의 소규모 상권에서 편리하게 온누리
우크라 720조 ‘돈폭탄’ 터진다…들썩이는 ‘이 회사’ 어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3년여 만에 종전 수순에 접어들면서 국내 경영계가 들썩이고 있다. 국내 기업이 ‘제2의 마셜플랜’으로 불리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은 데다 러시아와의 무역이 재개되면 수출도 늘어날 것이란 기대에서다.13일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정부는 최근 종전 후 재건사업 규모가 5000억달러(약 720조원)에 달할 것이라고 서방 투자자들에게 설명했다. 세계은행은 2023년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규모가 10년간 4863억달러(약 670조7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구체적으로 주택(803억달러), 교통(737억달러), 에너지(471억달러) 등 인프라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했다.이 같은 재건 사업에 주택·인프라 건설 관련 전문성을 갖춘 국내 기업이 대거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전쟁 중이던 2023년 7월 우크라이나 인접국인 폴란드 정부와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산업부 관계자는 “지정학적으로 폴란드는 종전 시 우크라이나 재건의 세계적 물류 허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건설과 정보기술(IT), 제조업에 강점이 있는 한국의 재건사업 참여를 요청하기도 했다.이 같은 기대에 이날 국내 증시에서는 기계·건설주 등 ‘우크라이나 재건주’가 급등했다. 종합기계회사인 HD현대인프라코어와 건설장비업체인 HD현대건설기계 주가가 각각 14.16%, 9.52% 급등했다. 농업기계, 원동기 등에 들어가는 부품을 만드는 대동기어는 22.41% 오른 2만4850원에 거래를 마쳤다.종전이 현실화하면 서방세계의 러시아 제재가 풀리고, 국내 기업의 수출길도 다
“왜 이렇게 싸?” 전복 사 먹으려다 ‘깜짝’…이유 알고 보니
수백억 적자인데 복지는 ‘최고’…”매각도 안된다” 버티기
“요즘 누가 케이크 먹어요”…불티나게 팔린 ‘K디저트’ 정체
“유럽 승무원들도 한국오면 싹쓸이”…다이소 핫템 뭐길래
“여보, 지금 사야 해”…7억 넘던 송도 아파트, 한 달 만에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 입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기사를 삭제 하시겠습니까?
Copyright 1999-2025. 한경닷컴 All rights reserve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