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편 로그인하고 한결 더 편리해진
나만의 중앙일보를 경험해보세요.
중앙일보를 만나는 또다른 방법
자동 검색 기능이 작동 중 입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있습니다.
AI 검색은 일반 키워드 검색과는 다르게 문장으로
질문해주세요. AI가 질문의 의도를 파악해서 참고기사와 함께
원하는 답변을 해드려요.
1 읽는 중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입력
업데이트
중국에서 신부 측 가족이 이른바 ‘신붓값’을 더 요구하며 웨딩카를 막아서는 영상이 최근 소셜미디어에 공개돼 논란이 일고 있다. 사진 웨이보 캡처
중국에서 신부 측 가족이 이른바 ‘신붓값’을 더 요구하며 웨딩카를 막아서는 영상이 공개돼 논란이 일고 있다.
최근 중국 현지 소셜미디어에서는 한 남성이 웨딩카를 막아서며 보닛 위에 올라가 “신부를 데려가려면 18만8000위안(약 3600만원) 더 내”라고 소리친 영상이 퍼졌다. 영상 게시자는 신부 오빠와 그의 아내가 신붓값을 현금으로 더 낼 것을 요구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차이리'(彩禮)라고 불리는 신붓값은 결혼식 때 신랑이 신부 가족에게 줘야 하는 돈이다.
이 영상에 대한 논란이 커지자 중국 허난성 화이빈현 당국은 지난 7일 합동 조사팀을 꾸려 진상 파악에 나섰다고 중국 관영지 글로벌타임스는 보도했다. 지난 1일 발생한 이 사건은 경찰이 출동한 끝에 마무리됐다. 조사 결과 신부 가족은 신랑이 신부 개인 계좌로 차이리 18만8000위안을 입금해 자신들은 돈을 받지 못했다는 이유로 이런 일을 벌였다.
화이빈현 당국은 신부 오빠 행동에 대해 경고했으며, 신랑과 신부 측 가족 간 중재에 나서 신랑이 신부 가족에 3만위안(약 570만원)을 더 주는 것으로 합의를 이끌었다고 밝혔다. 이어 낡고 바람직하지 않은 관습을 개선하고 이와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지난 6일 특별 회의도 열었다고 덧붙였다.
차이리는 중국의 오랜 관습이지만 신부 측의 과도한 요구로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결혼식장에 도착한 신부가 차이리가 지급되지 않았다면서 차에서 내리지 않고 신랑 측과 실랑이를 벌이는 영상 등은 소셜미디어에 종종 올라온다.
중국 농촌 마을에서 차이리는 통상 10만∼20만위안(약 1900만∼3800만 원)으로 한 가정이 감당하기 어려운 금액이다. 차이리 피해 사례가 잇따르자 중국 당국은 차이리를 규제하자는 캠페인에 나서기도 했다.
김지혜 기자 kim.jihye6@joongang.co.kr
Posted by 올리브영
Posted by 더존비즈온
ILab Original
Posted by 더 하이엔드
Posted by 더 하이엔드
Posted by SIMMONS
메모를 삭제 하시겠습니까?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산로 48-6 (우) 03909 전화 : 02-751-5114 등록번호 : 서울 아 01013 등록일자 : 2009.11.2 발행인 : 박장희 편집인 : 고현곤 전체 서비스
사업자명 : 중앙일보㈜ 사업자등록번호 : 110-81-00999 대표자명 : 박장희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20-서울마포-3802
JoongAng Ilbo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저작권 정책 및 콘텐트 문의]
Copyright by JoongAng Ilbo Co., Ltd. All Rights Reserved
중앙일보 회원이 되어주세요!회원에게만 제공되는 편의 기능이 궁금하신가요?
중앙일보는 뉴스레터, 기타 구독 서비스 제공 목적으로 개인 정보를 수집·이용 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원칙적으로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대해 거부할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단, 동의를 거부 하였을 경우 이메일을 수신할 수 없습니다. 구독 신청을 통해 발송된 메일의 수신 거부 기능을 통해 개인정보 수집 · 이용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회원만열람 가능한 기사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