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조리원에서 평균 286만원 사용…산모들 “경비지원 필요” – 경향신문

최대 60자 이내로 입력하세요.
서울 시내 한 산후조리원 신생아실에서 간호사 등 관계자들이 신생아들을 돌보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산모들은 출산 후 산후조리 기간 동안 평균 286만원을 산후조리원 비용으로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모들은 산후조리원 경비지원이 가장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보건복지부가 5일 공개한 ‘2024년 산후조리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산모들은 약 한달의 산후조리 기간 중 산후조리원에서 평균 286만5000원, 집(본인·친정·시가)에서 평균 125만5000원을 사용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조사 결과 산후조리 기간은 평균 30.7일이었다. 본인집이 22.3일로 가장 길었고, 이어 친정(20.3일), 시가(19.8일), 산후조리원(12.6일)이 그 뒤를 이었다. 2021년 조사보다 가정에서의 기간은 줄고, 산후조리원에서의 기간은 다소 증가했다.
산후조리 장소별 이용률을 보면, 산후조리원(85.5%)과 본인집(84.2%)이 높게 나타났다. 이어 친정(11.2%)과 시가(1.0%) 순이었다. 선호하는 산후조리 장소로는 산후조리원이 70.9%로 가장 높았고, 이어 본인집(19.3%)과 친정(3.6%)이 그 뒤를 이었다.
산모 10명 중 7명(68.5%)은 분만 후 산후우울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기간은 분만 후 평균 187.5일이었고, 실제 산후우울증 진단을 받는 경우는 6.8%로 조사됐다. 산후우울감 해소에 도움을 준 사람은 배우자(57.8%), 친구(34.2%), 배우자를 제외한 가족(23.5%), 의료인·상담사(10.2%) 순이었다. 10명 중 2명 이상(23.8%)은 도움을 받은 적이 없다고 응답했다.
산모들이 본인의 건강상태가 좋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산후조리 기간이 30.8%로 가장 낮았다. 산후조리 동안 산모들은 수면부족(67.5%)을 가장 많이 느꼈고, 이어 상처부위 통증(41.0%), 유두통증(35.4%), 우울감(20.0%) 순으로 불편감을 느낀 것으로 조사됐다.
산모 10명 중 8명(82.0%)은 출산 직전 취업상태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출산휴가는 58.1%, 육아휴직은 55.4%가 사용하였다고 응답했다. 절반에 가까운 산모들은 출산 및 육아휴직을 사용하지 못한 것이다. 배우자의 경우 55.9%가 출산휴가를 사용했으며, 육아휴직은 17.4%가 사용했다. 절반이 넘는 배우자가 출산휴가는 사용했지만, 육아휴직 사용률은 낮은 편이었다. 다만 2021년 조사와 비교할 때 배우자 육아휴직 사용률(9%→17.4%)은 두배가량 증가했다.
산모들은 만족스러운 산후조리를 위해 필요한 정부 정책 중 산후조리 경비지원(60.1%) 정책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어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 확대(37.4%), 산모 출산휴가 기간 확대(25.9%), 배우자 육아휴직 제도 활성화(22.9%)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9월30일부터 10월12일까지 2023년에 출산한 산모 322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진행됐다. 산후조리 실태조사는 모자보건법에 따라 산후조리 분야 정책 수립에 필요한 통계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임산부와 신생아의 건강 및 안전 관련 사항을 조사하는 것으로, 2018년 처음 실시된 이후 이번이 세 번째다.
국힘 김재섭 “대통령도 사전투표···부정선거 음모론 공식 차단해야”
탑골 공원은 옛말…어르신들 ‘핫플’로 뜨는 이 곳
“우리 대통령이 트럼프에 승리했다”
[속보] 경찰, 한덕수 국무총리 2차 피의자 조사…‘비상계엄’ 국무회의 참석
[속보]헌재 “최상목, ‘마은혁 불임명 위헌’ 결정시 안 따르면 헌법·법률 위반”
[단독]딥시크 주역 53명 추적해보니…베이징대·MS 인턴 출신 ‘AI 인재’ 자급자족 [딥시크 충격①]
ⓒ 경향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모바일 화면으로 보기
경향신문 회원이 되시면 다양하고 풍부한 콘텐츠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source

모두의백화점

오섹시코리아.com

모든 파트너 기타 문의 http://문의다모아.com

댓글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