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경제 » 이상할 정도로 아이를 안 낳자 “회장님 나섰다”…통 큰 행보에 ‘역시나’
“저출산 문제, 기업이 나서야 합니다”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이 국가적 위기 해결을 위해 전례 없는 결단을 내렸다.
부영그룹의 이중근 회장이 5일 서울 중구 부영태평빌딩에서 열린 ‘2025 시무식’에서 28명의 직원들에게 총 28억 원의 출산장려금을 전달했다.
부영그룹은 2021년 국내 기업 최초로 1억 원 출산장려금 제도를 도입했으며, 현재까지 총 98억 원을 직원들에게 지원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출산장려금 지급 이후 아이를 낳는 직원이 크게 늘었다는 것이다.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23명이던 출산 직원이 올해는 28명으로 증가했다.
부영그룹은 출산장려금 외에도 직원들을 위한 다양한 생애주기별 복지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주택 할인 혜택부터 자녀 학자금 전액 지원, 직계가족 의료비 지원, 자녀수당 지급까지 직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 회장은 합계 출산율 1.5명을 달성할 때까지는 출산장려금 지급 제도를 유지하기로 했으며, “출산율이 종전 수준으로 따라갈 수 있고, 국가가 이만하면 됐다 할 때까지는 할 작정”이라고 강조했다.
이중근 회장은 1983년 자본금 5000만 원으로 삼진엔지니어링을 설립했다. ‘선공후사(先公後私)’ 정신을 바탕으로 한 그의 리더십은 주택 임대 사업이라는 안정적인 수익 모델을 만들어냈다.
임대주택 사업이 어렵다는 편견을 깨고 꾸준히 사업을 확장한 결과, 부영그룹은 2023년 352개 단지, 27만 6603가구의 주택을 공급하며 국내 최대 민간임대주택사업자로 성장했다.
40년간 기업을 일구며 ‘선공후사’ 정신을 실천해 온 이중근 회장은 이제 더 큰 사회적 책임에 주목했다.
“대한민국은 현재의 출산율로는 20년 후 경제생산인구 감소와 국방 인력 부족으로 국가 존립의 위기를 겪게 될 것”이라며 출산장려금 지원을 결정했다.
2024년 기준 공정자산총액 21조 660억 원의 재계 순위 26위 기업으로 성장한 부영그룹은 저출산 문제 해결이라는 새로운 도전에 나선 것이다.
부영그룹의 파격적인 결정은 다른 기업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건설업계에서는 셋째 이상 자녀 출산 시 2000만 원의 출산 축하금을 지급하는 등 출산지원 제도를 확대하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또한 2024년 실시된 국민권익위원회의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2.6%가 출산장려금 1억 원 지원이 출산 결정에 동기부여가 된다고 답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부영그룹은 제13회 인구의 날 기념행사에서 대통령 표창을 수상했다.
기업의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된 이번 출산장려 정책이 저출산 극복을 위한 새로운 전환점이 될지 주목된다.
Copyright ⓒ 이콘밍글.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이미 예견된 위기”…결국 못 막고 한 달 사이 ‘6조 6천억 날아갔다’
바닷속 매장된 돈뭉치 “굴러들어 온다” 설랬는데… 기대감 ‘주르륵’
우리나라 주춧돌인데 “벌써 이런 일이”…섬뜩한 경고에 ‘발칵’
© 이콘밍글 모든 콘텐츠(기사·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