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에게 묻는 토종로컬영화 – 브런치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오늘날 영화 제작은 종종 "누군가가 보고 있다"는 전제를 떠안으며 진행된다. 더욱이, "누군가가 돈을 내고 보거나  많은 작품과의 경쟁과 선택 "이라는 강박은 대중적이고 상업적인 영화 제작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제는 창작 과정에 필연적으로 압력을 가하며, 창작자가 본연의 자유를 잃는 결과를 초래한다. 반면, 마을영화는 이러한 강박과는 본질적으로 결이 다르다. 마을영화는 그 창작 과정과 결과에서 관객에 대한 기대와 부담을 최소화하며, 창작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한다는 점에서 독창적인 의미를 가진다.
마을영화에서의 관객은 단순한 소비자가 아니다. 오히려 그들은 창작 과정에 함께 참여하며, 영화의 일부가 된다. 마을영화는 대규모의 흥행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 최소한의 관객만을 상정하며, 이마저도 창작과 감상이 명확히 분리되지 않는 형태로 진행된다. 관객은 종종 배우나 스태프, 혹은 영화의 방향성을 함께 논의하는 동료 창작자가 된다. 이러한 구조는 창작자에게 강박이 아닌 해방감을 제공하며, 더 순수하고 진정성 있는 예술적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상업 영화 제작에서는 투자 회수를 위한 흥행성과 대중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는 자연히 관객의 기호와 기대에 부합하는 요소를 창작에 포함시키도록 강요한다. 그러나 마을영화는 이러한 외부적 압력에서 벗어나 있다. 자발적으로 모인 사람들이 만들어내는 마을영화는 흥행성과는 무관하며, 오로지 창작자들의 자율성과 공동체의 이야기를 담아내는 데 집중한다. 이 과정에서 창작자는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있는 그대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얻는다.
그러나 마을영화가 비상업적 창작에 중점을 둔다고 해서, 경제적 행위와 직업적 가치를 배제할 수는 없다. 마을영화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해결 방안을 제안한다:  
    지역 주체와의 연계: 마을영화 제작 과정을 지역 경제와 연결한다. 
정부 및 공공 지원: 지역 예술과 문화 활성화를 목표로 하는 공공 기금을 활용한다. 이는 창작자들에게 경제적 지원을 제공하며, 마을영화의 지속 가능성을 보장한다.(하지만 나의 경우 그 또한 창작에 대한 간섭과 부담이 없지 않아 작품이나 국제영화제  대한 지원을 받고 있지 않았다 . 끄트머리국제마을영화제는 순순한 개인 후원에만 의존하여 운영하고 있다 ) 
    교육 및 워크숍: 마을영화 제작 경험을 바탕으로 영화 제작 교육 프로그램이나 워크숍을 운영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에게 새로운 기술과 지식을 전달하는 기회도 제공된다.  
    작품의 배급 및 상영 수익: 마을영화제를 비정기적으로 개최하여 지역의 관광을 유도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이는 마을의 이야기를 더 넓은 세계로 전달하는 동시에, 제작비 회수와 창작자의 보상을 가능하게 한다.
    관광 연계: 마을영화의 촬영지를 관광 자원으로 활용한다. 영화와 관련된 투어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영화 속 장소를 중심으로 축제를 개최함으로써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마을영화는 예술과 삶의 경계를 허문다. 일반적으로 영화는 창작자와 관객 간의 명확한 분리를 전제로 하지만, 마을영화에서는 이러한 경계가 희미해진다. 마을의 일상이 영화의 소재가 되고, 영화 제작 과정이 곧 마을의 축제가 된다. 이러한 경험은 창작자와 공동체 모두에게 특별한 기억으로 남으며, 영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닌 과정으로 기능하게 된다.
마을영화는 다양한 미학적, 철학적 사유와 연결되며, 독창적인 예술적 맥락을 형성한다.  
    미학적 차원: 마을영화는 전통적인 예술 형식과 현대적 미학의 교차점에 있다. 인상주의와 같이 일상의 순간과 감각을 포착하는 데 중점을 두며, 자연스러운 빛과 환경의 변화 속에서 마을의 이야기를 담아낸다. 이는 즉흥성과 사실성을 강조하는 다큐멘터리 미학과도 연결된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나의 영화는 드라마 ,극이다  주민들이 참여하는 드라마이기에 그 즉흥성과 사실성을 토대한 드라마는 매 단락마다 감독의 능력을 크게 요구받는다 ) 

    철학적 관점: 마을영화는 장자(莊子)의 "무위(無爲)" 철학과 유사한 점이 있다. 창작은 자연스럽게 흘러가며, 외부 강요 없이 자신의 이야기를 표현한다. 또한, 하이데거의 "세계-내-존재" 개념은 마을영화가 마을이라는 구체적 세계 안에서 삶의 진정성을 탐구한다는 점에서 관련된다.  

    공동체 중심 철학: 마을영화는 개인주의적 창작의 틀을 벗어나 공동체적 창작을 강조한다. 이는 장 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의 문학이 제시하는 공동체적 서사와 유사하며,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깊이 탐구한다.  
    연극: 마을영화는 공동체 연극의 즉흥성과 참여성을 차용한다. 연극과 마찬가지로, 마을영화는 관객과의 경계를 허물고, 모든 참여자가 창작의 일부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연극은 공연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참여자들이 특정 시간과 장소에 구속되어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이는 마을영화와의 중요한 차이점이다. 예를 들어, 연극은 무대와 관객이 고정된 장소에서 만나는 형태를 기본으로 하지만, 마을영화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연스럽게 촬영이 이루어진다. 촬영 장소는 마을의 길거리, 들판, 심지어 개인의 집 등 어디서든 될 수 있다. 이는 참여자들에게 시간적, 정신적 부담을 줄이며 창작 과정을 더 유연하고 자유롭게 만든다.                  사례: 한국의 한 농촌 마을에서 제작된 마을영화 "살아가는 기적"은 논과 밭을 무대로 하여 주민들이 평소의 생활 속에서 즉흥적으로 연기하며 제작되었다. 이 영화는 마을 주민들에게 일상과 창작의 경계를 허물며 자연스러운 창작 과정을 경험하게 했다. 이는 무대와 엄격한 연습 일정에 얽매이는 연극과의 차이를 극명히 보여준다.            

    음악: 즉흥 연주와 마찬가지로, 마을영화는 과정 중심의 창작을 중요시하며, 사전에 정해진 구조보다는 창작 중의 흐름에 따라 유기적으로 발전한다. 이는 재즈의 즉흥성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회화: 인상주의 회화처럼 마을영화는 특정 순간과 공간을 포착하여 일상의 아름다움을 강조한다. 마을과 자연환경은 마치 하나의 캔버스처럼 사용된다.  
    문학: 마을영화는 마을의 역사, 신화, 구전 설화를 스토리로 사용하며, 문학적 서사를 영화적 언어로 재해석한다. 이는 구체적이고 지역적인 이야기가 보편적 인간 경험으로 승화되는 과정이다.  
마을영화의 진정한 가치는 강박 없는 창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드러난다. "누군가가 보고 있다"는 부담, "돈을 내고 볼 가치가 있는가"라는 질문으로부터 자유로워질 때, 창작자는 자신의 내면을 온전히 드러낼 수 있다. 이러한 창작물은 상업적인 기준에서는 작은 울림으로 보일 수 있지만, 그것이 전달되는 공동체 내부에서는 깊고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토종로컬영화는 현대 영화 산업의 대안적 모델로 연구되어야 한다. 그것은 관객과 창작자의 관계를 재정립하며, 창작자에게는 자유를, 공동체에는 소통과 결속을 제공한다. 강박으로부터 벗어난 토종로컬영화는 예술이 본질적으로 무엇을 추구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토종로컬영화는 단순한 영화 그 이상이다. 그것은 공동체의 이야기와 정서를 담아내는 창작 행위이며, 함께 살아가는 삶의 한 단면이다.

생활인과 공동창작 ,탈상업적 상상력의 대중창작시대

source

모두의백화점

오섹시코리아.com

모든 파트너 기타 문의 http://문의다모아.com

댓글

답글 남기기